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옵티컬 아이즈 엑셀 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이전 편에서 말씀 드린대로 머신 스튜디오 VS 에이블톤 푸쉬 2 비교 사용기 마지막 편 되겠습니다.
최근 구정 연휴를 앞두고 여러가지 잔 일들이 많아서 진작 올렸어야 했는데 포스팅이 많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


앞선 파트들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이 비교 사용기는 각 기기의 기능들을 설명하거나 하는 강좌의 성격은 아닙니다. 그저 제 개인의 경험상 느낀 점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행여 구매를 고려중이신 유저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남기는 코멘트들입니다 😀

그럼 아주 간단명료 하게 최종평 남깁니다.
참고하시기 쉽게 특정 상황을 놓고 얘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 작, 편곡시에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Maschine Studio

커다란 화면과 패드, 서드파티 가상악기와의 적절한 궁합, 편리한 사운드 탐색, 개인적으로 가장 직관적으로 스케치 할 수 있는 장비라 생각합니다.

2. 최종 후반 작업까지 하고 싶다.

Ableton Push 2

비트메이킹에 있어서 머신에 비해 조금 뒤지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Ableton Live 라는 강력한 DAW가 메인이기에 어레인지, 녹음과 믹스, 마스터링 단계에서 까지 적잖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컨트롤러라고 생각합니다.

3. 예산이 적다.

Maschine Studio

다른 Host DAW 가 있다는 전제하입니다.
Ableton Push 2 의 경우, 메인이 되는 Ableton Live를 함께 구매하여야 하므로 더 많은 예산이 필요합니다.

4. 비트만 만들면 된다.

Maschine Studio

비트 제작만 할것이라면 이거 하나면 끝납니다. 어레인지 부분이 조금 불편하지만 스케치 단계에서 압도적으로 편리하므로 충분히 메리트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5. Ableton Live 를 사용중이다.

Ableton Push 2

이유 따윈 없습니다. 닥추.

5. 예산이 넉넉하다.

둘다 사라.

결과적으로 두 장비 모두 익스테리어도 훌륭하고 작업실의 간지와 편의를 동시에 책임질 수 있는 좋은 장비입니다.
물론 안 쓴다면 둘 다 필요없죠.

이상 비교 사용기를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P.S.
현재 머신 스튜디오 버전은 단종 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 다음 버전으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머신 MK3 버전이 나왔죠. 구입 고려중이신 유저 분들께선 구글링이나 다른 최신의 정보도 참고하시어 좋은 선택 하시고 즐거운 음악 생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장비는 필요에 의해 사는겁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옵티컬 아이즈 엑셀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Native Instruments Maschine Studio VS Ableton Push 2 파트 2가 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파트 1은 Maschine Studio (보러가기) 였으며,

이번 편에서는 Ableton Push 2 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ush 2 의 외관입니다. 

8 X 8 총 64개의 패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에 각종 파라메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있습니다.

Maschine 과 달리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보다는 텍스트 위주의 정보와 스펙트럼, 레벨 정도를 표시해 줍니다.

패드부분 좌측에는 피치휠, 모듈레이션 휠의 역할을 해주는 터치 스트립이 있습니다. 

그 밖에는 각종 콘트롤과 브라우징을 위한 버튼등으로 보시면 됩니다.

후면에는 전원 연결부와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USB, 그리고 풋 스위치 인풋 2개가 있습니다.

빌트인 스탠드는 없으며 따로 미디 인아웃풋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Push 2는 기본적으로 Ableton Live (이하 에이블톤 or 라이브) 를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러 입니다. (위 이미지 참고)

유저 모드로 에이블톤 외에 DAW도 콘트롤 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그럴거면 굳이 비싼 돈 주고 이걸 쓰실 필요는 없을거 같습니다.

Push 2 의 워크플로우는 에이블톤의 그것과 동일 합니다. 

물론 어레인지 뷰로부터 음악을 만드는 시는 분들도 많지만, 에이블톤은 세션뷰로 만드는 게 매력이죠.

각 트랙마다 여러개의 연주 (세션) 를 지정한다음 같은 라인에 있는 세션들을 동시에 플레이하면 하나의 섹션이 되는 방식입니다.

Push 2의 엄청나게 많은 버튼들은 이 많은 세션들의 갯수를 표현하기 위해서 였을까요..

패드 갯수가 부담 스러워 보이기는 합니다만 사실 건반 모드로 음계를 연주한다거나, 스텝 시퀀스 모드로 두마디 단위를 한눈에 보며 

드럼 노트를 입력한다던가 할때 편의성이 돋보입니다.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신다면 아래 영상을 보시면 에이블톤과 Push 2를 이용한 간단한 워크 플로우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에이블톤과 Push 2의 간단한 워크 플로우 (보러가기)


다만 에이블톤의 특성상 서드파티 VST를 사용했을때 자동으로 맵핑이 되지 않는 부분 (사용자가 직접 매크로 정의)

그리고 보유한 사운드가 많아졌을때에 브라우징에 시간이 너무 많이 소비되는 부분 (아마 이 때문에 Favorite 태그가 생긴것 같습니다.)

등은 아직 불편한 부분으로 남아있습니다. 

사실 이건 기기자체에 대한 문제라기 보다는 에이블톤 프로그램 자체의 개선해야 할 부분이지요.

그럼 이제 장점 단점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1. 장점


게임 처럼 음악 제작 가능

가독성 좋은 화면

에이블톤 자체의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다. (디테일한 파라메터와 수준높은 이펙트 프로세서등)

각 섹션별 어레인지가 편하다


2. 단점


너무 작은 패드, 손톱을 짧게 깎으면 벌어져서 아프다.

사운드 찾기가 너무 불편하다. 사운드 찾다가 아이디어가 날아간 경우가 많음.

파라메터가 너무 많고 이름들이 길게 늘어져 있어서 작은 화면에 담기 너무 복잡하다.

서드 파티 VST는 매크로로 미리 지정해 놓지 않은 이상 바로 사용하기 어려움.


이상입니다. 다음 번엔 파트 3 총평에서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옵티컬 아이즈 엑셀입니다.
오늘은 저의 오랜 친구이자 작, 편곡, 작사가로 활동중인 리키 (지금 검색해보니까 리키라는 분이 되게 많네요 검색해 보셔도 찾은 분이 아닐수도 😭) 형과 클라이언트를 위한 신곡을 작업하던 중, 형이 헤드폰을 사야 한다길래 제 작업실에서 머지 않은 광진구의 사운드 기어에 다녀왔습니다.

애초에 형이 비교 청음 해보고자 한 헤드폰은 젠하이저 HD600포칼 Listen Professional 이었는데요. 하지만 매장에 포칼 리슨 헤드폰이 데모가능한 제품이 없던 관계로 젠하이저 HD600HD650 을 들어보게 되었습니다.
아래에 서술할 내용들은 오직 저 본인의 개인적 감상과 의견에 지나지 않음을 유념해두시고 참고 바랍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둘중에 고민한다면 무조건 HD650을 사십시오. 👍

물론 이건 각자의 취향이긴 합니다만, (논란의 여지가 될까봐 잠시 물러나는 중) 
청음 후 저와 리키형 모두 HD650에 손을 들었습니다.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음)

(리키형이 HD650을 입수 하였습니다. 변별력이 5 증가합니다. 다만 현타가 옵니다.)



근데 생각해보니 너무 당연한 얘기인가요?
HD650을 살 돈이 있으면 당연히 그걸 사려고 할테니 😂

같은 회사이지만 두 모델은 성향이 정 반대입니다. 해상도, 분리도는 둘 다 훌륭합니다!

HD600의 경우 Side 쪽이 더 부각되어 있어서 보컬과 리듬단이 많이 안쪽으로 들어가 있고 전체적으로 많이 부스팅 된 공간계 위주의 소리를 들려줍니다. 스테레오 이미지도 그만큼 넓어져서 작곡용, 믹싱용 보다는 어쿠스틱 음악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감상용으로 많이 선호하실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작업용 모니터링 기기는 원래 비교 군이 많을수록 좋습니다만, HD600으로 작업시에는 특히나 비교 청취할 모니터링 장비가 반드시 필요 할것 같습니다.
괴리감이 엄청 납니다.

반면 그 상위 모델인 HD650의 경우 아주 적절한 Mid / Side 밸런스를 보여주었으며, 제가 경험해 본 혹은 보유중인 타 모니터링 장비와 심각할 정도의 괴리감은 들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저는 현재 Focal Shape Twin과 Focal Alpha 65, EVE TS107, ATH M50 사용중입니다, 어찌보면 제 현재 시스템과 성향이 비슷하다고 보는게 맞을수도 있겠네요. 근데 싸구려 번들 이어폰은 어찌 설명할 건데)
HD650 한대만으로도 충분히 레퍼런스 급의 결과물을 만드는게 가능해 보입니다. (물론 당신의 실력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저는 절대적인 모니터링 장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그런게 있어도 그만한 돈이 없어서 접해보지 못했을 뿐? ㄷㄷㄷ 
HD600이 타 장비와의 괴리감이 많다고 하여 이것으로 음악을 못 만든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어차피 본인이 좋아하는 소리를 내어주는 장비를 구입하고 그 장비로 기성곡들을 들어보며 분석하고, 그 사이에 익힌 감각과 변별력으로 작업하는 게 옳고 그게 실력이라고 믿고 있으니까요.
다만, 그간 많은 음악가 분들께서 추천하셨던 HD600의 명성이 높았던 만큼 실망도 컸던 청음기였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2018년 한해동안 친구 NUOL 의 프로젝트중 하나인 [NEW ERA X MICSWGBPM] 에 열심히 참여했던 기록입니다.

랩퍼들의 아카펠라위에 자신의 비트를 입혀보는 프로듀서/비트메이커 들을 위한 프로젝트 였는데요.

그 동안 너무 노는 것(?) 처럼 보였을까봐 이렇게라도 노출이 되면 어떨까 하는 심산에 참여했다가 


"그래 내친 김에 모든 에피소드를 다 참여해보자!" 라고 하여 도전한 과제입니다.



EPISODE 1. 자메즈 


EPISODE 2. 베이식



EPISODE 3. 이그니토



EPISODE 4. 허클베리피



EPISODE 5. 해쉬스완



EPISODE 6. 산이




EPISODE 7. 플로우식




EPISODE 8. 디보



EPISODE 9. 릴보이, 테이크원



EPISODE 10. 지바노트


이상 에피소드 10개를 참여하는 와중에 4화 허클베리피 편에서 우승을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댓글을 눈팅 해 본 결과, 평가가 그렇게 좋지 않더군요. 😥 (그럼 니네가 우승하지 그랬어요)

우승 이후에는 만든 비트들은 저부 "비 참여곡" 인 상태로 업로드 했네요.


그리고 한해동안 참여한 곡들을 모아 사운드 클라우드에 플레이 리스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비트들을 모아 EP 앨범을 제작할 계획입니다. 

이 비트들이 어떻게 변할지, 어떻게 완성될지 나중에 비교해서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IBM-PC : i7 2600k 3.8G Quad, 32G RAM, 512GB SSD + 3TB HDD, Windows 10 Pro K


DAW : Image-Line FL STUDIO 12 (Signature) , Presonus Studio One 3, Ableton Live 9 Suite, Cakewalk Sonar X3 Studio, Avid Protools 10,11,12


Audio Interface : Universal Audio Apollo Firewire + UAD 2 Satelite Quad DSP


Drum Machine : Native Instruments Maschine MK1 / Studio with Maschine 2.0 Software (+ Arcane Attic, Caribbean Current, Circuit Halo, Dark Preasure, Drop Squad, Golden Kingdom, Grey Forege, Halcyon Sky, Lucid Mission, Magnet Hustle, Helios Ray, Prospect Haze, Resonant Blaze, True School, Transistor Punch, Vintage Heat, RAW Voltage, Platinum Bounce, Cornant Gardens, Marble Rims Expansions and More)


Keyboard Controller : Native Instruments Komplete Kontrol S61, Ableton Push 2, Novation Launchpad mini, 


Exp. Synthesizer :

Korg M3 73 (+ EXB-FW Expansion Option) , Arturia Minibrute, Roland Integra 7 Module


Sampler : AKAI S3000i, Roland (Boss) SP-303


Ext. Compressor : DBX 160X


VST(i) : Native Instruments Komplete 10 Ultimate, ReFX Slayer 2, Cakewalk Rapture / Z3TA+ Sugar Bytes Cyclop, Xhun Audio LittleOne, Image-Line Sawer / Harmor / Harmless, Archetype Instrumnets Arc 5 / Lokomotive,  Arturia V Collection 4, Gospel Musicians FM Tines / Neosoul Keys, Lounge Lizard EP 4, Waves Gold/RennMaxxBundle + Manny Maroquin Bundle + JJP bundle + single plugins, Slate Digital VCC, VTM, VBC Bundle / FG-X, Plug & Mix Bundle, Crysonic Bundle, Izotope Nectar 2 Suite, Softube TSAR-1 Reverb, Tube delay, Eventide Ultrachannel / Ultradelay , SPL Passeq, Elysia Museq, MCDSP ML4000 and More


Monitor Speaker : KRK VXT 6 , EVE SC203


Monitor Headphone :Audio Technica ATH-M50


MIcrophone : Sontrasonic STC-80 Dynamic, Shure SM7B Dynamic, JZ Vintage 11, Warm Audio WA-87

728x90
반응형
LIST

'음악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현재 장비목록  (0) 2019.01.17
Maschine 교품  (0) 2012.05.26
Korg M3 73 (+ EXB-FW)  (0) 2012.03.17
2016.01 현재 사용중인 장비목록  (2) 2012.03.16
728x90
반응형
SMALL

 

Izotope Neutron Advanced Review

 

By Optical Eyez XL

 

 

마스터링 툴 Ozone (이하 오존)으로 유명한 Izotope 사에서 Neutron (이하 누트론이라는 믹스툴을 발매했다.

그래서 바로 겟 하여 사용해보도록 한다

(이 리뷰는 매뉴얼에 기재된 세세한 기능상의 내용보단 대략의 주관적인 감상그리고 간단한 사용기가 주를 이룸.)

누트론은 마스터링 툴인 오존과 비슷한 인터페이스로 하나의 채널랙 속에 Compressor, Transient Shaper, Exciter, Equalizer를 인서트하여 사용한다.

기본 버전과 Advanced 버전의 차이는 각 플러그인들을 단독적으로 제공하느냐의 차이뿐인 듯.

 


◎ 기본적인 레이아웃



각 누트론 랙의 최상단 좌측에 트랙 이름을 적어줄 수 있다.

각 악기장르별로 설정되어있는 프리셋들이 존재하며 어떤 작업을 했는지 히스토리도 볼 수 있다그 밖에 Track Assistant 모드의 감도등을 설정할 수 있는 각종 옵션이 존재.

랙 최종단에는 리미터와 누트론 발매 전에 무료로 공개됐던 Neutrino 의 설정단이 있다.

(솔직히 Netrino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아직까지 잘 모르겠다.)

 

◎ Track Assistant

 

랙 중앙 상단 부분에는 Track Assistant 버튼이 있다.

트랙을 재생하며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현재 트랙이 어떤 악기인지어떤 상태인지를 인식하여 적당한 세팅을 만들어 준다!

 

◎ Compressor 



사진상에는 Compress가 선택되어 있고 Vintage Mode가 적용된 상태.

(VU 미터로 표시된다.)

멀티 밴드 컴프레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원하는 밴드만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다각 밴드별로 내외부에서 사이드 체인 신호를 받아 Ducking 효과를 준다거나 하는것도 가능오존에서 볼 수 있었던 자동으로 음역대를 구분해주는 기능도 그대로다!

각 밴드별로 솔로바이패스하여 모니터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각 설정은 병렬방식으로 Dry/Wet을 섞어주는게 가능!

 

◎ Exciter



다양한 색깔 (Retro, Tape, Tube, Warm)의 하모닉스를 더 해줄 수 있는 Exciter.

오존에서의 그것과는 또 다르게 각 모드의 사운드를 섞는게 가능해졌다!

마찬가지로 음역대를 인식하여 구분 지어줄 수 있으며각 밴드별 개별적 설정 가능.

병렬처리 역시 가능함.


◎ Transient Shaper



보통 드럼 퍼커션 등의 사운드에 많이 쓰이는 Transient 조절 툴.

위의 여타 툴과 마찬가지로 밴드를 가지고 있으며 Sharp / Medium / Smooth 세가지의

Knee 형태를 제공.

 

◎ Equalizer



Neutron의 핵심 툴이 아닌가 생각되는 Equalizer.

12 밴드를 가지고 있으며 아날라이저가 트랙간의 신호 비교로 마스킹되는 음역대를 보여준다.

Inverse Link 기능을 이용하여 한 음역대를 조절할 때 트랙은 부스트를, B 트랙은 컷을 동시에 해줄 수 있다각 밴드는 다이나믹 EQ의 기능으로 사용가능하며/외부 사이드체인 신호로 트리거하여 컴프레싱이나 익스펜드할 수 있다.

 

◎ 믹싱 해보기

 

이렇게 각 부분을 대충 훓어보았다이제 이게 대체 어떻게 내 작업에 적용이 될지 봐야겠다.

근데믹싱이라는게 트랙없이 가당키나 한 얘기인가그래서 간단한 비트를 만들고 가사를 써서 랩을 녹음 한 후 믹싱을 해보기로 한다.

 

이 작업은 음악의 완성도 보단 작업 자체의 직관성에 중점을 두고 최대한 빠르게 간결하게 진행하였으며최초 편집 이외의 부수적 수정이 "거의 없는형태로 이루어졌다그리고 믹스 밸런스를 위한 참고용 트랙 없이 작업함.

 

 

세 음원의 각 트랙간 밸런스는 동일
(기본 믹스후 채널스트립 포스트단에 뉴트론을 적용시켰으므로 이에 생기는 레벨 오차는 있을수 있음).

 

 

1. 기본 믹스
2. 기본 믹스 트랙 어시스턴트 
3. 뉴트론으로 M/S 중 Mid 쪽 담당하는 트랙들만 마스킹 툴을 이용해 특정 음역대에 다이나믹 이큐 설정 정도.

 


◎ 감상과 의견

 

기본 믹스 후 같은 상태에서 누트론의 트랙 어시스턴트 기능을 사용하였을 때 굉장히 드라마 틱한 효과가 있었다.애초에 믹스 자체가 본인의 취향대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트랙 어시스턴트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하지만 굉장하다.) 아예 생각 해 보지 않은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에 굉장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트랙 어시스턴트도 그렇지만이퀄라이저에서 제공하는 마스킹 미터나, Inverse Link기능다이나믹 이큐 설정등도 굉장히 발군이었다기존에 이런 방식의 시그널 체인을 일일이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그럴 필요없이 한 화면내에서 끝내버릴 수 있었으며 엄청 편리하다고 느꼈다아쉬운 점이라면 스테레오 이미지 툴의 부재와 트랙 어시스턴트 기능이 지향하는 그 어떤 기준이 점 모호한 느낌이었다는 것물론 설정에서 Subtle, Medium, Aggressive 세가지의 옵션이 있지만그건 앞으로 좀 더 만져보면서 알아가야겠다.

 

◎ 결론

 

곡이 좋아야 한다.

편곡을 잘해야 한다.

가사도 잘써야 한다.

가창도 잘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